
안녕하세요!
혹시 여러분들께서는 가위에 눌려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의 경우에는 학창 시절에 방에서 자다가 정말 많은 가위에 눌리곤 했었는데 당시에는 가위에 눌리게 되면 이런저런 방법을 다 써가면서 풀었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경험을 한 적이 거의 없어서 다행이라 생각이 되네요.
그래도 제가 그 때 가위눌리는 이유를 확실히 알고 푸는 방법까지 잘 터득하고 있었더라면 보다 빨리 벗어나서 안정을 취할 수 있었으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없었더라도 언제 또 다시 가위에 눌리게 될지도 모르니 미리 가위눌리는 이유 알아두면 좋겠다 싶어서 정보를 알아보게 되었어요.
일단 가위 눌리는 이유를 알려고 하니 가위눌림의 정확한 개념이 있어 알아보았는데 가위눌림이라고 하는 것은 의학적으로는 수면마비라고 불린다고 해요.
그래서 의식이 깨어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잠을 자는 시간에 근육이 제대로 이완되지 않고 긴장되어 있어서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요.
그래서 잠을 자는 도중에 정신이 깨게 되었고 신체는 긴장된 근육으로 인해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는 것인데요.
진짜 너무 신기한 수면세계라고 생각했어요.
이러한 정의를 알아보게 되니 가위 눌리는 이유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되었어요.
그리고 이러한 수면마비 증상은 대체로 꿈을 꾸는 상황인데요.
즉 렘 수면 상태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몸의 근육들이 긴장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무력해져서 움직일 수 없게 된다고 하죠.
꿈을 꾸게 되고 렘수면 상태에 접어들게 되면 매우 졸린 상태로 얕은 잠에 들게 되는 것인데 다른 유형의 수면 상태에 비해서 잠에서 쉽게 깨게 되는 것도 그러한 이유인 것이라고 하네요.
그러다 잠에서 깨게 되면 근육은 무력해져 있게 되고 의식만 돌아오게 되면서 가위눌림이라고 부르는 일시적 수면마비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러한 것을 알게 되니 몸이 안움직여 무섭게만 생각했었던 저는 괜히 민망해지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어요.
그런데 왜 이러한 수면마비가 누군가에게는 일어나고 누군가에게는 일어나지 않는가에 대해서 궁금해지게 되어 정보를 더 찾아보게 되었어요.
전문가들은 수면장애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는데 가위눌림을 경험하게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리고 꿈을 평소에도 자주 꾸는 사람이 이러한 증상을 자꾸 겪게 되고
그러다 보면 수면을 조절하는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고 해요.
수면 장애를 가지게 되는 이유에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거나 혹은 피로가 누적되어 과로로 이어지는 경우,
혹은 우울증 증세가 있는 경우나 수면무호흡증이나 기면증과 같은 수면 관련 질환이 있을 때 수면 장애를 가지게 되어 가위눌림이 잘 일어날 수 있다고도 해요.
이러한 가위눌림은 많은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흔한 것이라서 발생을 하고 난 후에 자연스레 사라지곤 하는데
그래도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도 해 혼자서 이러한 상황을 겪게 되면 무섭기도 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잠을 규칙적으로 자야하고 충분히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비슷한 시간대에 자고 깨는 습관을 가져야하며 정신적으로 과한 스트레스를 가지지 않도록 해야 해요.
그리고 잠을 자기 이전에 폭력성이 짙은 매체를 보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시각, 청각적인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안대를 하거나 혹은 암막커튼을 치고 자면서 조용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해야 해요.
그리고 잠들기 1시간 전에는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하지 않는 것도 좋아요. 평소에 햇빛을 쬐어 멜라토닌이 원활하게 분비될 수 있게끔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규칙적인 운동을 해서 신체적으로 피로하게 해주는 것도 좋은데 하지만 잠들기 직전에 운동을 하는 것은 역효과를 가지게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그럼에도 가위에 눌리는 분들도 계실텐데 그러한 분들께서는 자는 자세를 바꿔보시는 것을 추천해요.
저의 경우에도 자는 자세를 조금 바꾸었더니 바로 이러한 일이 벌어지지 않게 되었던 경험이 있거든요.
그리고 만약 가위에 눌리게 되었다면 몸이 움직여지지 않아서 당황스러울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몸 전체가 다 움직여지지 않는 것은 아니기에 움직이려는 노력을 해서 풀어주셔야 해요.
아주 느리게라도 움직여지는 부위가 있을텐데 대부분 발가락이나 손가락, 입이나 혀가 움직여지는 경우가 많으니 손가락이나 발가락부터 조금씩 힘을 주어 움직이려는 노력을 하게 되다 보면 어느샌가 가위가 풀려있을 수 있어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눈을 움직여보는 것도 좋은데 몸이 전체적으로 마비가 된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되다보니 순간적으로 공포를 느끼게 될 수 있으나 눈을 움직여보려는 노력을 통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어요.
마지막 방법은 기침을 하는 것인데 이 방법이 되는 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분도 있으시겠지만 기침을 억지로 하려고 하면 어느 순간 풀리게 되는 분도 있다고 하니 이러한 방법을 참고하시고 가위를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동안 가위에 눌리게 되는 이유가 궁금했었는데 이번에 찾아보면서 저도 어느정도는 알게 된 것 같아요.
뭐든지 항상 이론은 다 알고 있지만 막상 행동하려면 안되는 것들도 많잖아요. 그래서 언제 또다시 가위에 눌리게 될지 모르니 규칙적인 생활을 해서 수면의 질을 높여주어야겠다 싶어요.
생각해 보니 저도 현재 불규칙한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지속하면 언제든지 가위에 눌려도 이상할 것이 없어 보이니
오늘부터라도 규칙적으로 잠자는 시간과 생활 습관을 가져보려고 하니 여러분들께서도 수면의 질을 높여보시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답하라1997 개딸의 의미가 두 가지인 이유 (0) | 2023.04.06 |
---|---|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목부음 증상 원인 (0) | 2023.04.05 |
무의식의 바탕 가스라이팅의 단계는 어떻게 될까? 유형을 알아보자 (0) | 2023.04.03 |
MBTI, ISTJ 유형, 특징, 연애, 장점, 단점? (0) | 2023.04.02 |
MBTI, ISFJ 유형, 특징, 연애, 장점, 단점?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