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다니게 되면 무조건 받게 되는 한 달 월급!
임금을 받을 시 최저임금은 고용자로 하여금 착취를 막기 위해 국가에서 최저임금을 정해 놓는 것이에요.
현재 2023최저임금과 2022 최저임금을 비교했을 때 금액적인 차이가 납니다.
최저임금제도를 최초로 뉴질랜드에서 1894년에 시행이 되었다고 해요~
우리나의 경우에는 1986년 12월 31일에 도입이 되었고 실시는 1988년 1월 1일부터 실시하였다고 해요
생각보다 오래된 것 같진 않아요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기준을 살펴보면 근로자가 생활하는데 최소로 필요한 생계비, 노동생산성, 유사근로자의 임금 등을 고려하여 회사마다 동일하게 적용이 되고 있으며 최저임금은 1인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는 곳은 모두 적용이 되고 있답니다.
또한 정규직, 아르바이트생, 비정규직, 청소년 아르바이트생 할 것 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부분인 것은
다들 알고 계시죠?
2022 최저임금은 9,160원이었고 이때 주 48시간을 근무하였다고 가정하면 약 1,914,440원을 월급으로 받을 수 있었어요. 그리고 지금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른 시급은 9,620으로 결정이 되었죠.
2022년 최저임금 대비 약 5% 정도 인상된 금액인데요,
9,620의 시급을 월급으로 계산해 보았을 때 최저임금이 200만 원이 넘는 금액이 역대 처음으로 책정되었다고 해요~
최저임금이 적용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를 하고 1주 동안 근무일수를 다 채우면 유급 주휴 일을 추가로 지급해 주는 것입니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 위원 회의에서의 심의를 통과해야 확정이 되는 방법인데요.
회사, 근로자, 정부에서 각 위원들이 모여 제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의하여 협의한 결과로 결정하는 방식으로 결정이 되고 있어요.
또한 2023최저임금은 최저임금 결정 산식을 적용하여 정하고 있어요.
최저임금 인상률은 경제성장률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한 다음 취업자 증가율을 차감해 주는 산식을 적용하고 있어요. 계산 방법만 봐도 조금 복잡한데요.
하지만 이러한 계산에 대해 경영계, 노동계 모두에게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 매번 불만이 일어나는지 ㅠㅠ
최저시급, 급여, 월급이 결정되고 나면 다음 해 1월 1일부터 바로 적용이 되는데요.
일을 시작하고 2023 최저임금이 궁금하다면 최저임금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어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쉽게 계산할 수 있답니다!
최저임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기본급, 상여금, 복리후생비, 기타 수당 등을 알아야 계산을 해 볼 수 있어요.
하지만 회사마다 적용되는 최저임금, 복리후생비, 시간 외 수당, 연차수당 등 회사 규정에 따른 차이로 인해 실제 월급과는 차이가 있죠.
하지만 이런 논란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수준은 OECD 회원국들 사이에서 상위권에 속한다고 해요~
국가마다 산출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어 정확하지는 않지만 상위권에 속한다니.. ㅋㅋ 신기하네요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물가 상승률이 큰 폭이었기 때문에
최저임금이 오르더라도 아무래도 저희같은 서민들은 생활하기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는 편이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ㅠㅠ
이처럼 매년 최저임금은 변동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매해 최저임금과 월급액을 알아두고 낮은 임금을 지급하겠다고 하면 거절할 필요가 있어요! 당당해지세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근로를 하고 임금명세서를 꼭 확인하는 것!!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함이기 때문에 항상 체크해 두는 게 좋아요~
이미 체결한 계약이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한 경우라면 계약서를 확인해야 할 부분도 있고 계약서를 다시 재작성하지 않는 경우에 현재 2022 최저임금으로 계약한 것이 아닌가 살펴보는 게 좋아요
수습 기간이 있는 회사에는 수습기간의 경우에는 최저임금의 90%를 최대 3개월 동안 받을 수 있어요.
근로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라면 수습 기간 또는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어요.
오늘은 2023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최저임금은 근로자와 회사와 소득 양득화를 줄일 수 있으며 살아가는 부분에 영향을 주는 만큼
꼭꼭 필요한 제도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주는 물론 근로자 또한 최저 임금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해 제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ESTJ 유형, 특징, 연애, 장점, 단점? (0) | 2023.03.31 |
---|---|
MBTI, ESFJ 유형, 특징, 연애, 장점, 단점? (0) | 2023.03.30 |
2023연봉 실수령액 내가 받는 실수령액은 얼마? (0) | 2023.03.28 |
MZ세대가 아닌 586세대를 알고 계시나요?? (0) | 2023.03.26 |
꾸러기 수비대 오프닝 12간지 십이간지의 비밀 (2) | 2023.03.24 |